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2017년 분양계획
- 소득조회
- 일반근로자
- 행복주택
- LG
- 퇴직한 직장인
- 공공분양
- 펜타카메라
- 통신3사
- 분양
- 강환국
- KT
- AOFO Smart power
- 시놀로지
- 가치투자
- 3자녀우선
- 국민임대
- 평강랜드
- 2018 공급계획
- SH
- sh공사
- 장기전세
- 국립항공박물관
- 장전
- 워렌버핏
- 스마트 멀티탭
- 국임
- 공공임대
- AI 카메라
- 알뜰폰
- Today
- Total
초코비니
시행 착오들이 좀 있었다. 갑자기 React를 해보고 싶은 생각에 책한권을 읽고 난후 이제 만들어보자 하면서... 백엔드로 스프링 부트부터 만들기 시작했다. 스프링부트를 시작하려니... 최소 자바 17버전;; ㅎㄷㄷ... 그나마 나한테는 최신이라고 할 수 있는 자바버전은 1.8이었다. ㅠ_ㅠ; 별 차이 있겠어? 다 똑같은 자바지? 기존 라이브러리랑 호환 안되는것들이 많았다. Deprecate된건 그러려니 각자 알아서 하시길... 시큐리티에 WebSecurityConfigurerAdapter 의 Deprecate 새로 만드는건데 없애고 시작해야겠다 싶어서... 다음 블로그를 참조했다. https://covenant.tistory.com/277 WebSecurityConfigurerAdapter Deprec..
Docker를 컨테이너에 올리면 이런 에러가 날때가 있다. bootstrap check failure [1] of [1]: max virtual memory areas vm.max_map_count [65530] is too low, increase to at least 빠른거 좋아하시는 분들을 위해 빠르게 해결책만 내놓겠다. 참고로 난 윈도우에 docker를 올려놓고 사용중이다. 1) 윈도우 powershell 을 open 한다. 2) wsl -d docker-desktop 명령어를 수행한다. 3) sysctl -w vm.max_map_count=262144 명령어로 추가 입력하면 해결 된다. 이제 컨테이너를 올려 정상 가동하는것을 보면 된다.